농장및 기타

[스크랩] 땅콩 파종및 재배

조령산신령 2016. 4. 4. 19:41

땅콩 재배환경 

  가. 온 도

    ○ 발아최저온도 : 12℃

    ○ 발아적온 : 조생소립품종 23~25℃,  만생대립 25~30℃

    ○ 생육적온 : 26~32℃(지상부 생장 최적온도 31~33℃)

    ○ 꼬투리 발육 최적온도 : 31~33℃

    ○ 생육기간 중 적산온도(평균기온 20℃ 이상)

      - 소립종(120~130일) : 2,850℃, 대립종(155일 이상) : 3,300℃


  나. 토양수분

    ○ 땅콩결실 최적수분 : 약 40%(용적비)

    ○ 결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시기 : 자방병 지하 침투 후 20~30일간

    ○ 수분부족이 가장 민감한 시기 : 꼬투리 발육 후기의 2~3주간


  다. 재배적지

    ○ 물빠짐이 좋은 모래참흙 또는 참흙땅

    ○ 알맞은 토양산도 : pH 6.0~7.0 (최적 6.8)

< 토양산도별 수량 >

토양산도 (pH)

5.5

6.0

6.5

6.8

7.0

7.5

수량 (㎏/10a)

128

155

170

173

172

163


  라. 이어짓기 피해 방지

    ○ 이어짓기를 하면 꼬투리 맺는 비율이 낮아지고 병해충 발생이 증가되어 수량이 떨어지므로 3년 1기 돌려짓기 지도

      - 돌려짓기가 불가능할 경우에 개량제 시용과 병 방제 철저

        ․ 개량제 필수 시용 : 퇴비 1,000~1,500㎏/10a, 석회 100~150, 붕소 2

<이어짓기에 의한 수량 감소 (’83~’86, 경기)>

 

 

100%

 

 

 

 

 

 

 

 

 

 

 

270

 

 

90

 

 

 

 

 

 

 

 

㎏/10a

 

 

 

 

 

88

 

 

 

 

 

 

 

 

 

 

 

 

 

 

83

 

 

 

 

 

 

 

 

 

 

 

 

 

 

돌려짓기

이  어  짓  기

2 년

3 년

4 년

주당협수 (개)

 32.5

 31.9

 31.9

 29.6

협실비율 (%)

 73.7

 72.3

 71.1

 69.1

 병    해 (0-5)

  1.2

  1.5

  1.8

  2.2

토양선충(마리/100g)

134.0

112.0

154.0

402.0

 

 

 

땅콩 파종

가. 파종시기(비닐피복재배시)

    ○ 경기 강원 충남북 : 4월하순

    ○ 전남북 경남북 : 4월중순

    ○ 제주 : 4월중순(1모작), 6월상순(2모작)

 

 나. 종자량

    ○ 중대립종(2립/주 기준) : 10~12㎏/10a   ○ 소립종 : 6~8㎏/10a

   

 다. 종자소독

    ○ 알콩 1㎏당 캪탄수화제(오소사이드) 3~5g 비율로 분의 소독

    ○ 베노람(벤레이트티, 큰나락) 또는 지오람(금나락) 수화제는 300배액으로 4시간 침지

      - 종자 소독을 하면 발아율도 11~40% 높아짐

<종자소독제 처리효과(’86, 작시)>

 

 

 

76

 

 

 

76

 

 

 

 

 

 

74

 

 

 

 

28%

 

 

 

 

 

 

 

(%)

 

 

 

 

 

 

 

 

 

 

 

무처리

       베노람수화제      지오람수화제      캡탄수화제


 라. 파종방법

    ○ 두둑짓기 : 70㎝ 두둑에 통로 30㎝로 두둑을 지어 2열 재배

    ○ 심는 거리 : 줄사이 40㎝ 포기사이 25㎝ (8,000주/10a)

    ○ 소휴 2열 비닐피복재배의 이점

      - 물 빠짐이 잘되어 습해가 적어짐

      - 씨뿌리기 작업등 재배관리가 편리함

      - 규격 유공비닐 사용할 때 10a에 적정주수 8,000주 확보 가능

      - 햇빛 쪼임과 바람이 잘 통하여 병이 적어짐


<비닐두께와 파공크기에 따른 수량 (’78~’83, 작시)>

       방   법

 항    목      

피복효과

비닐두께별 수량

파공크기별 수량

피복

무피복

0.01㎜

0.02

0.03

4㎝

6

종실중 (㎏/10a)

290

198

282

311

252

311

280

지           수

154

100

112

123

100

111

100

협 실  비 율(%)

69.5

64.3

 72

 73

 72

 75

 73

완숙립중비율(%)

 75

 70

 84

 86

 83

 87

 84

 마. 싹틔워 심기

    ○ 씨 뿌리는 시기가 늦어졌을 때 또는 덧뿌림 할 때

    ○ 발아율 저하가 우려되는 씨앗을 뿌렸을 때

    ○ 씨앗이 부족할 경우

    ○ 씨앗을 절약하여 최대한으로 증식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 다음의 경우는 가급적 싹을 틔워 심음

      - 평균기온 15℃ 이상 되는 생육가능일수가 150일 정도인 중북부 지역의 대립종 재배시는 여름철 이상저온 등을 감안하여 가급적 싹을 틔워 씨를 뿌려 생육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유리

    ○ 효 과

      - 싹트는 기간이 단축되어 전 생육기간이 연장됨. 150→165일(직파시는 발아 출현하는데 3주정도 걸리나 싹틔운 것은 4~5일 소요)

      - 씨앗 절감 (46%)

      - 종자부패와 새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음

      - 재배포장의 활착률이 높고 입모 확보에 유리

<최아비닐피복재배효과(’83, 작시)>

 

무 피 복

비  닐  피  복

직    파

직      파

최아파종

수          량

217㎏/10a(100)

293(135)

308(142)

개    화    기

7.2일

6. 21

6. 18

협  실  비  율

64%

69

71

 

땅콩 거름주기

가. 기 준

(㎏/10a)

구    분

요   소

용  인

용과린

염화가리

퇴비

소석회

기 경 지

7 (3)

 50 (10)

17 (10)

1,000~1,500

100~150

신개간지

9 (4)

110 (22)

33 (20)

1,500이상

중 화 량

     (  )내는 성분량임

    ○ 땅콩 전용복합비료(4-19-14) 시용으로 균형시비

      - 기 경 지 : 전용복비 75㎏/10a

      - 신개간지 : 전용복비 100㎏+용성인비 또는 용과린 55㎏+

                   염화가리 10㎏

       ※ 타용도 복합비료 사용시 부족성분 반드시 단비로 보충 시용

<전용복합비료의 증수효과(’84, 작시)>

시 용 비 료 별

착 협 수

(개/주)

협실비율

(%)

수량 (㎏/10a)

수량

지수

단비(3-14-10㎏/10a)

50

73

268

100

복비(4-19-14㎏/10a)

56

75

286

105


 나. 석회 시용

    ○ 토양산도 중화뿐만 아니라 흡수량이 많아 빈꼬투리 방지 효과가 큼

    ○ 효과

      - 수량이 증수됨

      - 밑거름과 웃거름으로 나누어 주는 것에 비하여 노력 절감


<석회시용 효과 (’67~’70, 작시)>

 

45.5%

 

 

 

□ : 석회 안 준 것

 

 

 

 

 

 

 

 

■ : 석회 준 것

 

39.5

 

 

 

 

 

32.0

 

 

 

 

 

 

 

31.0

 

 

 

 

 

 

 

 

 

 

 

 

27.8

 

 

 

 

 

 

 

 

 

 

 

22.4

 

 

 

 

 

 

 

 

 

 

 

 

 

빈꼬투리

 

외알 꼬투리

 

두알 꼬투리

 


    ○ 석회비료 전량 밑거름으로 주기

      - 밑거름 주기 → 갈기 →

석회전량 주기

→ 경운기로터리(5~10㎝깊이) → 두둑만들기 → 잡초약 사용 → 비닐덮기 → 씨뿌리기

<석회 시용방법 비교 (작시, ’82~’83)>

 

 

 

 

 

106

 

 

100

 

 

 

 

 

 

286

 

97

 

 

 

 

㎏/10a

 

 

 

 

 

(%)

 

 

 

 

 

 

 

시비

방법

 

기비50%+개화기50% 분시

 

경운전전량시용로터리 후 파종

 

경운후전량시용로터리 후 파종

 

땅콩 주요관리 

가. 일반관리

    ○ 비닐구멍 뚫어주기

      - 무공비닐을 덮었을 때는 본엽 3매 발생 이전에 구멍을 뚫어 줌


    ○ 덧심기

      - 싹틔우지 않은 씨앗을 심은 후 빈 자리가 생긴 곳은 싹틔운 씨앗으로 가능한 한 빨리 덧뿌림

      - 솎음묘로 덧심기 할 때는 본엽 1~2매 이전에 함

       ※ 결주율 10% 미만시는 보상작용에 의하여 수량에는 큰 영향이 없음


 나. 재해관리

  (1) 한해대책

    ○ 파종시 종자를 4~5㎝ 정도 다소 깊게 파종

    ○ 헛골에 제초작업을 겸한 배토 실시

    ○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흙덮기

    ○ 헛골에 산야초 피복으로 수분 증발억제

<땅콩 한발시 관수효과(’94, 작시, 경기)>

지 역

처리내용

주경장

(㎝)

착협수

(개/㎡)

협실비율

(%)

100립중

(g)

종실수량

(㎏/10a)

작  시

관    수

 88

264

68

124

344(101)

(수원)

무 관 수

 53

280

67

 95

342(100)

 

 

 

 

 

 

 

경  기

관    수

153

366

64

 75

295(103)

(화성)

무 관 수

157

364

67

 74

287(100)

 ※ 공시품종 : 작시(왕땅콩), 경기(대광땅콩) ※ 재배방법 : 비닐피복재배


<땅콩의 생육단계별 한발피해(’95, 작시)>

 

100

 

 

 

 

 

 

 

 

 

 

 

341

 

 

90

 

 

 

 

 

90

 

 

㎏/10a

 

 

 

 

 

85

 

 

 

 

 

 

 

 

 

 

 

 

 

 

 

 

(%)

 

 

 

 

 

 

 

 

 

 

 

 

구   분

포장용수량

수준 관수

유묘기 한발

(6.9~7.8)

개화기 한발

(7.21~8.20)

등숙기 한발

(8.21~9.20)

 주 경 장(㎝)

42.9

42.7

38.7

43.0

분지수 (개/주)

18.3

13.4

12.3

15.2

성숙협수(개/주)

61.2

58.4

56.4

60.5

     ※ 품종:대광땅콩, 파종일:5. 3일(비가림재배), 수확일:10. 10일

  (2) 풍수해 대책

    ○ 사전대책

      -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 정비

      - 예방위주 병해 사전 방제

        ․ 동시방제 : 7월하순부터 10일 간격으로 4회 실시

        ․ 대상병해 : 갈색무늬병, 검은무늬병, 녹병, 그물무늬병 등

    ○ 사후대책

      - 침관수 포장은 속히 물을 빼주고 흙앙금 제거로 동화작용 촉진

      - 습해우려 포장 및 생육 불량 포장 요소 0.4%액 엽면시비

<침수 시기별 땅콩 수량 감소 정도 (’88, 경북)>

 

무침수

20시간침수

40시간

60시간

74시간

종실수량

148㎏/10a

139

78

66

3

지     수

100

 94

53

45

2

       ※ 침수시기 : 9.1~4일

    ○ 주요병해 방제 : 병해 진단 즉시 적용약제 적량 살포

<약제방제효과 (’84, 농약연)>

 

 

□ : 검은무늬병

 

91

 

 

 

 

 

 

 

 

 

■ : 갈색무늬병

 

 

 

 

90

 

 

 

 

 

 

 

 

89

 

 

 

 

 

89

 

 

 

 

 

 

 

 

 

88

 

 

 

 

 

 

 

 

 

 

 

 

 

 

 

 

87

 

(%)

 

 

 

 

 

 

 

 

 

 

 

 

 

 

 

0

0

 

 

 

 

 

 

 

 

 

 

 

 

 

 

 

 

 

 

 

 

 

 

 

 

 

 

무처리

 

지오판수화제

 

베노밀수화제

 

타로닐수화제

 


  (3) 영양결핍에 의한 불균형 증상

    ○ 질소 (N)

      - 연한 녹색을 띠고 심할 때는 창백한 황색을 띰.

      - 줄기는 가늘고 길어짐

      - 하부 오래된 잎은 떨어지고 생육은 크게 저해됨


    ○ 인산 (P2O5)

      - 잎이 두껍고 딱딱해지며 어두운 암갈색으로 됨

      - 전체 잎이 갈색으로 되고 마침내는 떨어짐

    ○ 가리 (K)

      - 잎의 가장자리 또 잎맥 사이에 황백화 현상을 보임

      - 심하면 오래된 잎은 찢어지고 잎 가장자리는 다소 위로 말림

      - 끝눈(頂牙)의 가지를 붉게 물들게 하여 고사시킴

    ○ 석회 (Ca)

      - 뿌리는 짧고 뭉툭해지며 변색됨

      - 잎의 색 파괴, 줄기의 자람은 멈추고 심한 위축현상을 보임

      - 심하면 꼬투리를 형성하지 못하고 꼬투리의 알이 안 생김

    ○ 마그네슘 (Mg)

      - 가장자리 잎맥에서 시작하여 중맥으로 황백화 현상 발생

      - 후에 오렌지색을 띠고 주름지거나 둘둘 말림

    ○ 황 (S)

      - 잎의 황백화 현상은 N의 결핍과 같은 증상으로

      - 생장의 끝점에서만 나타남

    ○ 붕소(B)

      - 잎의 색이 짙은 녹색을 띠고 줄기 마디사이가 짧아짐.

      - 개화와 결협율이 떨어지고 종실은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하며 떡잎 내부 중앙부위가 움푹 들어가고 갈변함(동공 형성)

 

땅콩 수확 

○ 적기 : 60~80%의 꼬투리에 그물무늬가 뚜렷해졌을 때

      - 조숙종 : 9.15~9.25,   만숙종 : 9.25~10.5일경

    ○ 수확 후 줄기에 꼬투리가 달린 채로 7일 정도 말린 후 꼬투리를 털어서, 다시 말려 수분 10% 이하가 되게 하여 갈무리

<땅콩 기계화 굴취 적정시기 및 생력효과(’94, 호시)>

품    종

기계 굴취 시기별(개화후 일수)

굴취작업시간(시간/10a)

90일

100

110

120

기계이앙

인  력

대  비

조 생 종

223㎏/10a

294

281

275

4.1

25.2

16

(대광땅콩)

(81%)

(107)

(102)

(100)

 

 

 

만 생 종

150

184

242

263

3.4

24.2

14

(신남광땅콩)

(57%)

 (70)

(92)

(100)

 

 

 

     * 굴취기계 : DR-1000 이용


    ○ 적정 굴취시기 판정기준

공  시  품  종

굴취시기

적정 굴취시기 판정기준

낙엽정도

협그물무늬형성정도

조생종(대광땅콩)

개화 후 100일

26%

87%

만생종(신남광땅콩)

개화 후 120

38

85

      - 굴취시기별 수량성은 만생종은 개화 후 120일(263㎏/10a), 조생종은 개화 후 100일(294㎏/10a)이었음

      - 기계수확 굴취 시 노력은 평균 기계굴취시 3.4~4.1시간/10a으로 인력 대비 84~86% 절감되었음

    ○ 씨앗용 탈각은 가급적 파종기 임박하여 실시하여 발아율 향상

     ※ 씨앗용은 피콩으로 저장하는 것이 알콩으로 두었을 때보다 발아율과 수량성이 높음

<씨앗 보관방법에 따른 수량 비교(’84, 작시)>

 

 

100%

 

 

 

 

 

 

 

 

 

176

 

66

 

 

㎏/10a

 

 

 

 

 

 

 

 

출처 : 농부세상
글쓴이 : 흙사랑 원글보기
메모 :

'농장및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마토가 익기 시작했어요  (0) 2019.06.22
태양초 만들기  (0) 2018.08.02
구지뽕 재배법  (0) 2015.06.09
2015년도 모내기  (0) 2015.05.28
모내기  (0) 201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