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충남에서 제일 높다는 서대산(금산 추부/904m)에서

조령산신령 2010. 11. 8. 20:16

▣ 언제 :2010년 11월 6일

▣ 누구랑 : 토사모회원 9명

   아침 일찍 간단한 점심을 준비하여 시민운동장에 가니 회원들이 몇분 안나왔다.

   오늘 문경시청공무원 체육대회가 있으니 시청 직원들이 모두 불참 8시10분까지 기다리니 모두 9명

   회장차와 내차 두대로 충남 금산을 향해 출발, 서대산리조트까지 약 2시간이 소요되었다.

 

 

 ☞  서대산드림리조트 주차장에 도착. 주차비 한대당 2천원. 입장료 1인당 1천원을 ~~~ 주차비는 이해가 되나 입장료는 리조트

     사유지를 통과한다고  1인당 1천원을 징수하는것은 이해가 안된다.

 

 ☞ 서대산 긴급구조 구급 안내판

 

 ☞  서대산 등산 안내도/ 오늘 등산은  1코스로 올라 4코스로 하산

    몽골촌~용바위~제비봉삼거리~신선바위~제말재삼거리~사자봉~헬기장~장군바위~서대산~개덕사삼거리~몽골촌

  

 ☞  리조트입구에서

 

 ☞  리조트에서 좌측 등산로로

 

 ☞  팬션

 

 ☞  몽골 켐프촌에서 1코스로

 

 ☞ 용바위

 

 ☞  제비봉에서

 

 ☞  제비봉을 지나자 경사도가 심해진다.

 

 

 ☞ 잠시 휴식을 취하는 회장

 

 ☞  우리 앞을 가로 막는 크다란 바위 /저게 신선바위인가?

 ☞  조망바위에서 본 서대산 정상

 

 ☞  전망바위에서~~

 

 

 

 

 ☞  신선바위에 도착

 

 

 

 ☞ 신선바위옆에 출렁다리(구름다위). 지금은 위험하여 폐쇄하였다.

 

 

 ☞ 제말재 삼거리 도착

 

 ☞ 뒤 돌아본 신선바위

 

 ☞  위치로 보아 여기가 사자바위가 있을곳인데 ~~/ 그럼 이 바위가 사자바위???

 

 

 

 

 ☞ 여기도 옛날에는 성이 있었는 모양~~성터가 있네요

 

 ☞ 제1헬기장에 도착

 

☞ 등로에는 이러한 기암들이~~

 

 ☞ 선바위가~~

 

 ☞ 선 바위가 곧 쓰리질듯~~~

 

 ☞ 제2헬기장에 도착

 ☞ 등산로 곳곳에 이러한 암능이 ~~

 

 ☞ 저 앞에 장군바위가

 

 ☞ 장군바위 뒤로 서대산 정상이

 

 ☞ 좋은 등산로가 있으면 이러한 위험한 등산로도~~

 

☞ 뚜벅이와 달아네가~~ 

 

 ☞ 장군바위에 다왔음을 알리는

 

 

 ☞ 석문에 도착

 

 

 

 ☞ 석문의 모습

 

☞ 웅장한 장군바위의 위용

 

 

 

☞ 안전한 우회길을 두고 지름길로 오는 뚜벅이외 달아네~~

 

☞ 위에서 당겨 주어야만 올라올수 있답니다

 

 ☞ 절벽에 겨우 살고있는 소나무

 

 ☞ 장군바위에서 뒤돌아본 신선바위쪽

 

☞ 장군바위위에 태극기가~~~

 

☞ 장군바위위에서

 

 

☞ 장군바위위에 이러한 묘가~~~

 

 ☞ 장군바위에서 조망을 즐기는 달아네~~

 

 

☞ 아름다운 소나무기 있으서 사진을 찍으려니 잘모르는 아낙들이 모델이 되어 주겠다나~~??

 

☞ 정상에 도착

 

☞ 정상에서 본 장군바위

 

☞ 정상을 지나 아늑한 자리에 앉아 정상주와 점심을 먹고

 

☞ 점심식사후 충분한 휴식을 가지고

 

☞ 서대산수련원쪽 전망

 

☞ 닭벼슬 바위 / 이곳으로 가는 등산로는 폐쇄~~

 

☞ 어디가나 돌서들밭에는 돌탑들이~~

 

☞ 서대폭포. 물이 말라 폭포에는 물이 안흐르고/ 또 이곳은 개덕사를 통해야 갈수 있음

 

 ☞ 개덕사쪽 하산로는 폐쇄~~

 

☞ 개덕사의 뒷모습

 

☞ 개덕사뒤에서 우회전하여 ~~

 

 ☞ 몽골촌 옆의 원형 팬션

 

☞ 노랗게 물든 단풍길을 따라 하산

 

☞ 하산하여 뒤 돌아본 서대산 일대의 모습

 

☞ 붉게 물든 단풍~~~ 눈이 부셔요

 

☞ 리조트와 서대산~~

 

☞ 단풍이 절정에 달하고

 

☞ 단풍길을 따라 하산

 

☞ 리조트의 단풍과 서대산

  아침에 출발시는 인터넷으로 본 서대산 많이 궁금하였는데 ~~~

직접와서 보니 산행하는 즐거움이 그런데로 좋다.

그런데 단지 흠이 입장료를 리조트에서 밭는것이 찝찝하다.

오늘 산행은 3개도(경북.충북.충남)를 넘나들며 아무사고없이 안전하고 즐겁게 산행을 마치게 됨을 감사드리며~~